실시간 뉴스



"2금융권 가계대출↑, 리스크 요인 선제적 대응 필요"


가계대출 규모 은행권 상회···금리 상승·경기 둔화 충격에 약해

[아이뉴스24 김지수 기자] 최근 몇 년간 가계대출에서 제2금융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은행권보다 높아진 가운데 경기 둔화와 금리인상 등 리스크 요인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예금보험공사가 최근 발표한 '제2금융권 가계부채 현황 및 위험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681조 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4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2금융권으로 분류될 수 있는 비은행예금취급기관과 기타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을 합한 규모는 728조 2천억원으로, 예금은행보다 46조 5천억원 더 많았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비중도 지난 2015년 2분기부터 50%를 상회한 이후 그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올해 2분기 현재 취약차주 가계대출 중 제2금융권의 비중은 65.5%로 지난 2014년 이후 그 비중이 소폭 축소됐지만 여전히 은행권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2금융권의 금융기관별 취약차주 대출 비중을 살펴보면 ▲상호금융 ▲여신금융회사 ▲대부업체 및 저축은행 등 순으로 그 비중이 높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는 일종의 '풍선효과'라는 분석이 많다. 지난 몇 년간 은행권 가계대출이 급증한 이후 은행권 대출규제 강화로 인해 대출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이동한 현상이 있었기 때문이다.

박태준 여신금융연구소 실장은 "은행권보다 가계대출 비중이 높은 제2금융권의 자산건전성에 부정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우리 경제나 금융시장이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며 "위험 요인에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실장은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이나 금융기관의 손실흡수 여력 측면에서 금리인상과 경기 둔화를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부실화 요인으로 언급했다. 이런 위험 요인이 은행권에도 영향을 주겠지만 서민과 취약차주의 이용 비중이 높은 제2금융권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올해 상반기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제2금융권의 부실 위험 전이 효과는 대체로 증권회사나 투자펀드 등의 부실이 타 업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친다"며 "예금보험공사는 제2금융권의 부실화 위험 요인을 조기에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실장은 또 "금융당국이나 한국은행과의 유기적이고 지속적인 정보 공유나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한국은행의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 결과와 상호연계성 분석 등을 적극 공유하고 위기발생 시 조기 수습할 수 있는 공동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지수기자 gso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2금융권 가계대출↑, 리스크 요인 선제적 대응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