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자리 모인 유료방송업계…'갈등'만 확인


IPTV-SO-홈쇼핑-PP, 생존 직면에 각사 주장만 …상생 '요원'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유료방송시장 동반성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으나 결국 갈등만 재확인했다.

한국방송학회는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료방송 재편기, 합리적 거래 환경 조성을 통한 동반성장의 길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 발제는 전범수 한영대 교수가 '유료방송 시장구조 변동과 새로운 복지 개념의 검토'를, 박진용 건국대 교수가 '유통관점에서 본 TV홈쇼핑의 구조적 제도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패널로는 정연승 단국대 교수, 고흥석 IPTV협회 팁장과 노동환 채널진흥협회 팀장, 신호철 케이블TV협회 팀장, 황기섭 TV홈쇼핑협회 실장, 이찬구 미디어미래연구소 실장 등이 자리했다.

한국방송학회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료방송 동반성장의 가능성을 확인하려 했으나 서로의 입장만 재확인했다
한국방송학회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료방송 동반성장의 가능성을 확인하려 했으나 서로의 입장만 재확인했다

◆ "네탓이요" 공방에 유료방송 시장 안갯속으로…

세미나에서는 유료방송 시장 IPTV, SO, PP, 홈쇼핑TV 등 각 이해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인 만큼 동반성장을 위한 근원적 대책 마련 논의가 기대됐으나 막상 각각의 입장만 고수, 상생의 어려움만 재확인 시켰다.

고흥석 IPTV협회 팀장은 "산업환경이 급변하게 변화게 된 부분에 대해 IPTV가 기여해왔다"며, "IPTV의 가입자수가 케이블TV(SO)를 넘어섰으나 그간 케이블TV의 가입자 감소폭은 적고 매출도 큰 영향이 없었다는 부분을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방송 수신료 매출 대비 PP 사용료가 적게 나간다고 하는데, 방송 매출은 단순 송출뿐만 아니라 VOD와 양방향, 인공지능 서비스 등 케이블과 매출구조가 다르고 비용 구조도 다르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라며, "TV홈쇼핑 송출 수수료가 높아졌다는 것은 확인된 사실이나 이는 IPTV 사업이 그만큼 성장해왔다는 과정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에 대해 노동환 방송채널진흥협회 팀장은 "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사용료가 필요한데 확보가 어렵다"라며, "IPTV는 두자릿수 수신매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지급 인상률은 한자릿수에 머물고 있고, 콘텐츠 사업자별 인상률이 차별적으로 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신호철 케이블TV협회 팀장은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들이 요금 책정을 마음대로 하고 있는데 국내는 요금 편성이나 상품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없다"라며, "ARPU를 올릴 수 있는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황기섭 TV홈쇼핑협회 실장은 "중소기업의 판로를 확대해왔지만 결국 송출 수수료 문제가 이에 영향을 끼치면서 사회적으로 공론화됐다"라며, "IPTV의 인상률은 40% 중반인 반면, MSO에 주는 수수료는 마이너스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즉, 유료방송 이해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유료방송 시장을 성장시켜왔다는 점에 대해 강조하면서도, 홈쇼핑TV 송출 수수료,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 등에서는 생존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이기적 행태를 보였다.

이에 대해 정연승 단국대 교수는 "정부가 중재하고 제3의 직권조정 등을 통해 송출 수수료 가이드라인을 통한 상한제 지정 및 투명한 공개, 재허가심사에 실질적 반영이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촉구했다.

◆ 유료방송 시장 '실패'…콘텐츠 경쟁력 확보 손잡아야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실패했다는 진단도 나왔다.

이찬구 미디어미래연구소 실장은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거래 관계를 봤을 때 우리가 정말 성공한 시장인가라기 보다는 실패한 시장에 가까워진다는 느낌"이라며, "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필요하고, 거래 관계를 시장에서 만들지 못한다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 실장은 과도한 부담이 단기적으로는 수익확보에 기여할 수 있으나 미디어 사업을 지속 성장시키지 못하고 상생협력 체계를 취약하게 만든다고 분석했다.

이 실장은 "국내 미디어 산업이 넷플릭스 같이 콘텐츠 제작과 유통 등을 모두 다할 수없는 상황"이라며, "만약 이러한 현상 계속되면 전체 미디어 사업의 지속 가능성이 요원해지고, 이용자의 복지도 악화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미디어 퀀텀 점프가 안된다"고 지적했다.

과도한 경쟁구조도 문제 삼았다.

이 실장은 "국내 미디어 시장 규모를 고려할 때 플랫폼 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 수가 많아 경쟁이 더 심화됐다"라며, "플랫폼 사업자 측면에서 인수합병이 이뤄지는데, 콘텐츠 사업자도 이같이 재편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넷플릭스와 같은 슈퍼 플랫폼의 등장에 위기의식을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다. 만약 이를 간과한다면, 5년 후에는 누구나가 똑같이 생존권을 보장해 달라고 말을 꺼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비자 콘텐츠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시청자의 가치에 부합하면 비싸다해도 콘텐츠를 정당하게 구매하고 있다는 것.

무엇보다 시청자 복지개념의 재정립과 유료방송 시장을 보다 냉철하게 바라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실장은 "시청자 복지개념 등 모든 것이 부족했던 시기고 강조될 수밖에 없는 시기며, 유료방송 시장은 이미 성숙기가 지나갔다"라며, "공익성과 보편성, 다양성, 접근성 중 다양성이나 접근성은 어느 정도 달성됐다고 판단되기에 현재 다양성을 외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김문기 기자 mo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자리 모인 유료방송업계…'갈등'만 확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