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현장] "코로나19 사태는 예측불가"…車업계 포함 산업계 대비해야


'코로나19 영향과 대응' 포럼…수요 절벽·폭증기 나눠 대비해야

[아이뉴스24 황금빛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고 유례없는 상황이다. 비경제적 이슈가 완전히 세계 경제를 침체 국면으로 가져가 실물과 금융에 복합적으로 위기를 가져왔다."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금융시장에서 등락이 심한데 이는 현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굉장한 타격을 받은 것이다. 특히 과거 리먼 브라더스 사태 때보다 훨씬 더 큰 것이 확인돼 불안감이 제기되고 있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경제 전문가들은 25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영향과 대응'을 주제로 한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포럼은 자동차뿐 아니라 석유, 철강, 기계 등 각 업종별단체와 경제단체 등 26개 기관이 공동 주최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어느 한 업종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어서다. 포럼에는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장, 김준규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 김태정 금속노동조합 정책국장 등이 참석했다.

이동근 원장은 "현재 IMF(국제통화기금),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에서 세계 경제 전망을 1주 단위로 내고 있는데 세계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까지도 갈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홍준표 연구위원도 "코로나19 사태는 2002년 사스(SARS) 때 보다 심각하다"면서 "사스 당시 중국 내수 경기 영향이 미약했지만, 현재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마이너스를 보이는 정도"라고 우려했다.

이어 "중국의 코로나19 확산 속도를 미국과 유럽 등이 따라가고 있다"며 "이 때문에 코로나19 확산 영향이 3~4분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황금빛 기자]
[황금빛 기자]

특히 미국과 유럽 등에서 이동을 제한하기 시작하면서 경제 위기는 개인 격리, 대면 소비 활동 위축, 소비업체 붕괴, 실업자 증가, 소비와 생산 위축 심화 등의 경로를 밟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직면하는 대표적 위기는 '수요 절벽'과 '공급망 차질'이다. 이날 포럼은 자동차 산업을 주요 예시로 이야기가 오고 갔다.

정만기 회장은 "해외 공장의 연쇄적 폐쇄로 자동차 생산이 많이 중단된 상황인데 특히 생산능력이 큰 미국, 유럽, 인도 등에서 생산이 되고 있지 않다"면서 "유럽 지역은 판매망 폐쇄로 수출용 국내 공장 가동도 수요 절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얘기했다.

또한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해외 부품 구입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면서 "이는 중소 협력업체들의 줄도산과 산업생태계 붕괴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제한이 장기화할 경우 국내 완성차 공장에서 앞서 겪었던 와이어링 하네스 수급 차질 문제가 재현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자동차 같은 경우 보쉬(인젝터), 컨티넨탈(엔진부품), ZF(에어백), 인피니언(차량용 반도체), 미쉐린(타이어) 등 유럽업체로부터 소싱하는 부품들이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현재의 '수요 절벽기'와 미래의 '수요 폭증기'를 나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요 절벽기 대책으로 특히 부품수급차질 최소화지원, 글로벌 수요절벽을 대응할 내수 촉진 등이 제기됐다.

김준규 상무는 "한국은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등 4개국에서 소재부품 수입의 62%를 의존하고 있어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 핵심부품 공급에 차질이 확산될 수 있다"며 공급처 변경 시 인허가, 수입심사 단축, 24시간 통관처리 등 패스트트랙 지원을 요청했다.

내수촉진을 위해서는 수요 절벽기인 2분기에 공공기관 조달과 국민의 구매력을 집중하도록 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김 상무는 "현재 개별소비세 인하를 포함해 자동차 취득세를 70% 감면해야 한다"며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의 보조금 지급 시기도 이원화해 이 기간에 지급액을 확대해야 한다"고 얘기했다.

수요 폭증기 대응 방안은 생산 극대화를 위한 노동규제의 한시적 완화다. 업계에서는 수요 폭증기를 7월 이후쯤으로 보고 있다. 이때 대기 수요가 폭발할 수 있으니 대비하자는 것이다.

김 상무는 "재난 기간을 명확하게 규정해 그 기간 주 52시간 노동 규제를 면제하고 파견과 대체 노동 허용, 부당노동행위 적용 제외 등의 내용을 포함한 재난극복을 위한 특별노동조치법(가칭)을 제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법 제정이 여의치 않으면 특별연장노동 대폭 허용, 유연근로시간제 확대 등의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현장에선 다른 목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 김태정 정책국장은 "모두가 코로나19가 끝나고 V자형 회복을 기대하지만 다시 침체가 나타나는 L자형 곡선이 더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수요 폭증기에 대한 회의적인 생각을 밝혔다.

이와 함께 김 국장은 "유럽에서는 이미 노사정 합의를 통해 조업 단축, 임금 보전, 한시적 해고 금지 등을 노동자들과 약속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주 52시간 노동 예외 확대 등을 이야기하면서 노동자들과는 논의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자본과 노동이 같이 이야기해야 하고 기본적으로 모든 노동자들의 건강권, 생존권, 안전하게 일할 권리 등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금빛 기자]
[황금빛 기자]

업계에서 수요 폭증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하나 더 있다. 현재 중국이 코로나19 영향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면서 생산 차질 문제를 빠르게 회복하고 있어서다. 이렇게 되면 중국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김준규 상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공장 가동률이 올라가고 있는데 우리가 잘 대응하지 못하면 중국 기업이 하반기에 우리 빈자리를 대체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조철 연구위원은 "세계 전체 수요가 빠르게 회복하지 않고 있는데 중국만 공급 과잉이 되면 수요는 줄어들고 경쟁은 심해지고 전체적으로 가격은 하락할 것"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기업들이 모두 다 어려워지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동근 원장은 "현재 한국이 세계 5위권 제조업 강국인데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제조업 강국 순위도 바뀔 것이고 글로벌 공급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면서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 제조업 현황을 냉정하게 보고 위기를 기회로 삼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날 포럼을 참관한 김동욱 현대자동차 전무는 "V자형일지 L자형일지 알 수 없지만 L자형이 장기화해도 어떻게 하면 한국 자동차 산업이 생존력을 높일 수 있겠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수요를 찾아가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단은 제품이기 때문에, 생산을 제때 하고 신차를 제때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얘기했다.

황금빛 기자 gol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현장] "코로나19 사태는 예측불가"…車업계 포함 산업계 대비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