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지상파→케이블→IPTV→넷플릭스…"韓 OTT 'B급화"


KCA, OTT 플랫폼 사업자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 방안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A급 콘텐츠는 넷플릭스에 내준 국내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은 결국 B급으로 해외 진출해야 할 판이다."

22일 이창훈 MBC 콘텐츠사업부장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세미나 'OTT 플랫폼 사업자 경쟁력 제고 및 활성화 방안' 토론자로 나서 국내 콘텐츠 활성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동환 콘텐츠웨이브 정책협력팀장
노동환 콘텐츠웨이브 정책협력팀장

이번 세미나는 하주용 인하대 교수를 사회로, 이상원 경희대 교수와 노동환 콘텐츠웨이브 정책협력팀장이 각각 국내 OTT 산업 활성화를 위한 경쟁력 제고 방안과 정책 지원방안에 대해 발제했다. 종합토론으로 곽동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김희경 성균관대 교수, 박성철 KCA 팀장, 이창훈 MBC 콘텐츠사업부장, 임종수 세종대 교수, 장병희 성균관대 교수가 참여했다.

이날 이창훈 부장은 광고 시장 붕괴로 인해 제작비 회수가 어려운 콘텐츠제작사업자(CP)가 넷플릭스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절체절명의 상태로, 이같은 현상이 심화될 경우 A급 콘텐츠는 넷플릭스에 귀속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넷플릭스는 통상적으로 국내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대신 저작권을 보유, 이를 해외 유통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이 부장은 "국내 미디어 시장이 지상파에서 케이블 중심의 유료방송이, 다시 통신사의 지배력이 전이된 IPTV로 전환됐으나 최근에는 IPTV가 넷플릭스와 디즈니 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등 해외 OTT 제휴에 매달리고 있어 큰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유료방송 시장이 아직은 OTT로 인한 코드커팅이 일어나고 있지 않다는 지적에는 공감하면서도 실제 지불의사가 있는 시청자가 OTT로 넘어감에 따라 향후 10년 내 실시간 방송에 대한 광고시장은 없어질 것으로 우려했다.

이 부장은 "지상파 광고 매출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으며, CJ ENM과 JTBC 역시 올해 역성장 중이다"라며, "큰 폭으로 줄어드는 광고매출을 유료방송에서의 VOD 수익으로 버텨왔으나 이도 역시 올해부터 역성장 중인데 비해 넷플릭스는 올해 국내서만 약 5천억원의 수익을 거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작은 규모의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해외 시장을 도모해야 하는 OTT 플랫폼의 경우 콘텐츠 시장에서의 넷플릭스 의존도가 심해질 수록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빼앗길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해외 진출했을 시 넷플릭스는 A급 한류 콘텐츠를 유통하겠으나 저작권이 없는 국내 OTT는 B급 콘텐츠로 승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콘텐츠 제작 시장에서 회당 15~20억원 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넷플릭스 이외에는 한 군데도 없는 실정"이라며, "콘텐츠 없는 OTT 성공은 허상이다"라고 정부가 미국 미디어 기업의 수준에 오를 수 있을 정도의 적극적 진흥이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동환 콘텐츠웨이브 정책협력팀장 역시 넷플릭스로 인한 국내 시장 잠식에 따른 위기감에 동조했다.

노 팀장은 "시장에서는 넷플릭스에게 거절당한 시나리오가 그 다음 제작시장으로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라며, "콘텐츠 제작 시장에서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공정경쟁 차원에서 바라봐야 할 것들이 상당하다"고 운을 땠다.

이같은 위기 의식 속에서도 거버넌스 문제로 인해 갈팡질팡하는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아쉬움도 나타냈다.

OTT를 특수부가통신사업자로 규정하는 입법을 발의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영상진흥기본법을 통해 OTT의 법적 지위를 신설하려고 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협력팀을 발족해 실무진과 함께 OTT 협의를 이끌어내려는 방송통신위원회의 교통 정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희경 성균관대 사회과학과 교수는 "지금의 거버넌스 상황에서 하나의 기관에서 OTT를 맡기는 어렵기 때문에 실무적으로 가볍게 움직일 수 있는 조직체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가 말한 협의체란 수사권과 감시권, 모니터링 등 현장 실사까지 가능한 수준의 법적 지위를 갖춘 통합된 거버넌스가 만들어져야 의미로 실무적으로는 가벼울 수 있으나 그 지위 자체는 엄격하게 가져가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나마 최근 청와대를 중심으로 범부처 OTT협의체를 발족한데 대해서는 패널 모두가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지난 8월말 과기정통부와 방통위, 문체부는 OTT의 통합 지원책 수립을 위해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한 바 있다.

곽동균 KISDI 연구위원은 "(OTT협의체 구성에) 큰일을 하셨다고 생각한다"라며, "OTT에 대한 입법적 성과가 없었다는 것은 뒤집어서 보면 성급하게 가는 걸 막았다는 것으로 과기정통부도 정치적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을테지만 잘못된 길을 가지 않기 위해 합리적 선택을 했다는 점을 높이 사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팀장은 콘텐츠도 중요하겠으나 플랫폼 자체적인 지원도 따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범부처 미디어 생태계 발전방안은 플랫폼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아닌 간접 지원이 대부분"이라며, "가량 대사를 자막화하는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 기술 개발 등 플랫폼의 기술 R&D 부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문기 기자 mo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상파→케이블→IPTV→넷플릭스…"韓 OTT 'B급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