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박진영 기자] 7년 전 한 번 고사를 했던 작품이었지만, 결국 운명처럼 다시 송중기의 손에 들어왔다. 그래서 송중기는 '로기완'을 "내 작품"이라고 말한다. 처음부터 '로기완=송중기'라는 생각에 시나리오 작업을 했다는 김희진 감독은 긴 시간 끝에 드디어 장편영화 데뷔를 하며 감격스러운 순간을 만끽하게 됐다. 송중기의 눈빛을 보는 것 만으로도 슬펐다는 김희진 감독은 촬영 내내 기대 이상의 진지함으로 로기완을 표현해낸 송중기에 고마움을 연신 표현했다.
지난 3월 1일 공개된 '로기완'(감독 김희진)은 삶의 마지막 희망을 안고 벨기에에 도착한 탈북자 기완(송중기 분)과 삶의 이유를 잃어버린 여자 마리(최성은 분)가 서로에게 이끌리듯 빠져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조해진 작가의 소설 '로기완을 만났다'를 원작으로 각색된 작품으로, 단편 영화 '수학여행'으로 전주국제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아시아나 국제단편 영화제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김희진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이다. 처음엔 작가로 참여했던 김희진 감독이 연출까지 맡아 '로기완'을 이끌었다.
송중기는 살기 위해 베를린으로 간 탈북자 로기완 역을, 최성은은 벨기에 국적을 가진 한국인 사격선수 출신의 마리 역을 맡아 열연했다. 또 와엘 세르숩, 조한철, 김성령, 이일화, 이상희, 서현우 등이 연기 호흡을 맞췄다.
김희진 감독은 '로기완'에 자신의 이름도, 국적도 증명할 수 없는 이방인이 낯선 유럽 땅에서 겪게 되는 고난과 아픔, 냉혹한 현실에서 타인의 삶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을 담아냈다. 결국 사람을 사람답게 살아가게 하는 건 '사랑', 그리고 '사람'이라는 보편적이지만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전하며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로기완'은 공개 3일 만에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 영화(비영어) 부문 3위, 대한민국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모로코, 카타르 등 12개 국가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평면적인 연출과 전개에 대한 아쉬움, 캐릭터 서사에 대한 개연성 부족 등 작품 전체에 대한 평가는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다음은 김희진 감독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 오랫동안 작업해온 작품이 드디어 공개가 됐는데 소감이 어떤가?
"오랫동안 준비했던 작품이다 보니 공개가 된 후 후련하고 섭섭한 마음이 있다. 아쉬움일 수도 있다. '이랬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후련함이 컸던 것 같다."
- 벨기에가 배경인 이유와 촬영은 헝가리에서 진행된 이유가 궁금하다.
"원작 소설에도 배경이 벨기에고, 취재를 위해서 만났던 분도 벨기에에서 난민 지위를 인정받으려 한 탈북자였다. 그래서 벨기에로 정해졌다. 저희가 프리 프로덕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장소 검토를 했다. 룩을 가져가는 측면에서 벨기에와 헝가리가 유사한 부분이 있다. 또 헝가리에서 촬영할 때 제작 측면에서 편리함, 이점이 있었다."
- 송중기 배우가 한 차례 고사했다가 다시 운명적으로 만나게 됐다는 얘기를 했는데, 그 사이 과정이 궁금하다. 또 어떤 지점에서 로기완은 송중기 배우여야 했나?
"7년 전에 송중기 배우가 '로기완'이 어렵다고 한 뒤 저도 이 작품을 계속 잡고 있었던 건 아니다. 다른 작품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각본을 쓰기도 했고, 메인으로 데뷔하기 위해 오리지널을 쓰다가 잘 안 되기도 했다. 몇 년 동안은 마음을 접고 있었는데 이 작품이 다시 수면으로 올라와 다시 매달렸다. 송중기 배우는 처음부터 생각했던 배우인데, 스타이고 다작을 했다. 많은 작품을 접하면서 송중기 배우의 연기에 마음을 뺏기는 순간이 있었다. 저분이 로기완을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기다린 보람이 있다."
- 극 초반 로기완의 삶이 참 처절하게 그려진다. 쓰레기통을 뒤지기도 하고 화장실에서 잠을 잔다. 그런 장면 하나하나 디테일이 살아있다 보니 현실적이라 더 짠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때의 분위기가 어땠는지, 배우가 연기할 때는 어땠는지 궁금하다.
"그런 디테일은 송중기 배우가 많이 가져왔다. 시나리오에는 '허겁지겁 먹는다'였는데, 저도 슛 들어가서 모니터를 보며 많이 놀랐다. 떨어진 빵도 주워 먹고, 잼도 손가락을 넣어 핥아먹는다. 그런 건 온전히 배우가 가져왔다. 식사를 안 했나 싶을 정도로 연기를 해줬고, 그걸 한두 번 간 게 아니었다. 감사했다. 애잔함의 정점을 찍는 물에 빠지는 장면에선 대비를 해 대역 배우도 있었다. 그런데 본인이 하겠다고 해서 직접 했다. 그런 식으로 되게 열심히 해주셨던 것이 그대로 묻어났다. 물에 빠진 후 몸을 부들부들 떨며 거리를 걷는 건 실제 추위도 있었고 연기로 그 온도를 맞춰준 것도 있다."
- 많은 장면이 있었겠지만, 송중기 배우의 가장 '이 컷이다' 하는 장면을 꼽아준다면?
"매번 바뀌는데 지금은 삼촌(서현우 분)과 싸울 때 텅 빈 눈빛이 나온다. 대답하라고 멱살 잡고 흔들 때 진짜 비어버린 사람의 얼굴이 나와서 찍을 때도 그 눈빛에 마음이 아팠다.
- 그렇게 염원하던 송중기 배우와 작업을 하면서 새롭게 느끼게 됐다거나 놀라웠다고 하는 부분이 있었나?
"으쌰으쌰 해주는 것도 있는데, 영화를 만드는 과정에서 기대 이상으로 진지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입장에서 납득이 되지 않는 것은 며칠씩 고민해 오기도 했다. '행복할 자격이 있는 거냐'라는 대사가 극에서 중요한데, 배우가 가지고 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엄마를 죽게 만든 아들이 살아갈 생각만 해도 벅찬데 사랑을 하는 것에서 굉장히 많은 고민이 있었다. 기완으로서 납득하게 하려면 그걸 드러내야 할 것 같다는 말을 해서 그 대사가 만들어졌다. 진지한 접근과 창작자로서 힘이 나게 하고 같이 만들고 있다는 기분이 들 수 있게끔 의견을 개진해줬다."
- 기완과 마리의 베드신에 대한 고민도 있었을 것 같다.
"톤, 수위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 보시는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초고보다 소프트하게 다뤘다. 노골적으로 다룰 경우엔 이야기에 방해가 될 수도 있어서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 기완이 사용하는 북한말이 자강도 말인데,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는 북한말과는 다르다고 알고 있다. 어떻게 사용하게 됐나?
"북한말 선생님, 송중기 배우, 그리고 저 셋이 같이 의논을 했다. 우리가 아는 선에서 전형적인 말을 써도 되는 대사가 있었다. 하나씩 발음을 해보고 세게 들리지는 않은지, 기완의 캐릭터를 벗어나는지를 체크하면서 어렵게 정하게 됐다."
/박진영 기자(neat24@joy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