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창간14년]'브랜드 활용' 빅클럽과 간격 좁히기


유소년아카데미 운영 방식·철학·지향점 차이점 있어

[조이뉴스24 류한준, 이성필, 김동현 기자] '말로만 (지역) 사회 공헌 사업, 언제까지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어야 할까요.'

한국 프로스포츠 시장은 외연은 확장되고 있지만, 내부는 여러 문제로 곪아 터지기 직전입니다. 각 종목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외화내빈'이라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불균형입니다. 어딘가 아픈데 왜 발병했는지 모릅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부실한 팬서비스를 지적하는 팬들도 있고 관전 불편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구단의 역할이 단순히 승패라는 결과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한국 최초의 인터넷 스포츠, 연예 매체 조이뉴스24는 11월 1일 창간 14주년을 맞아 바로 이 부분을 건드려 보기로 했습니다. 창간 14주년 특집으로 연고지와 팬들을 위한다는 프로구단의 존재 이유를 재점검해보기로 말이죠. 특히 구단의 역할 중 하나인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해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제대로 되고 있는지, 어떤 의미로 하고 있는지 말이죠.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과감한 사고 전환도 제안합니다. 총 8부에 걸쳐 점검해봤습니다. 무엇이 좋고 나쁜지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 사회 공헌을 통해 서로 윈윈하는지 살펴봤습니다.

-글 싣는 순서-

1부. 의무감과 흉내만 내는 지역 사회 공헌 사업

①한국 프로스포츠에서 사회 공헌은 어떤 의미일까

②누구를, 무엇을 위한 사회 공헌 사업인가

2부. 프로스포츠 구단과 지역의 연대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①인천의 향수를 자극한 SK와이번스

②12년의 동행으로 성장한 전북 현대, 후발 주자 안산

③천안에 완벽하게 뿌리 내린 현대캐피탈

3부. 라이벌이자 동반자인 이웃나라 스포츠의 사회 공헌 협업 사례와 효과-일본

①J리그는 지역과 어떻게 교류했나

②쇼난 벨마레, 빗셀 고베의 협업 사례③일본 프로농구 B리그는 이렇게 자리 잡았다

4부. 프로스포츠의 천국에서는 어떻게 접근했나-미국

①광대역 연고에서 사회 공헌은 어떻게 효과를 냈나

②LA 지역의 연고 구단들은 이렇게 움직였다

③MLS 찰리 쉰 부사장과 구성원들이 말하는 CSR

5부. 종합스포츠클럽(SC)이 곧 사회 공헌이다-포르투갈

①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SC를 둔 스포르팅

②6부리그까지 떨어진 베이라마르의 생존 방식③철저한 이해와 연대가 바탕이다

6부. 종합스포츠 클럽의 천국은 어떻게 지역과 융합했는가-독일

①바이에른 뮌헨이라는 브랜드를 활용했더니

②슈투트가르트 배구단의 틈새 시장 공략법

③소도시부터 대도시까지, 찾아가는 스포츠 눈길

7부.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까

8부. 국민 참여 토론회

여유가 넘쳐보였다. 독일 분데스리가 뿐 아니라 유럽축구연맹(UEFA) 주최 최상위 클럽대항전인 챔피언스리그에서도 강팀이자 명문팀으로 꼽히고 있는 바이에른 뮌헨다웠다.

바이에른 뮌헨에서 유소년 아카데미를 총괄하고 있는 요헨 자우어 학장은 "브랜드 덕을 보고 있는 부분은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11일 바이에른 뮌헨 유소년 아카데미를 방문해 만난 자우어 관장은 "아카데미에는 약 2천여명이 소속돼있다"고 말했다.

연령대는 9세부터 19세까지로 남자만 따진 숫자다. 아카데미에서 축구를 하고 있는 여자 어린이와 학생까지 따지면 참가 인원은 더 늘어난다. 그런데 아카데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생들은 선수 신분은 아니다. 자우어 학장은 "선수와 유소년으로 구분돼있다"며 "17세까지는 선수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얘기했다.

바이에른 뮌헨 구단이 운영하고 있는 유소년 아카데미를 찾은 이유 중 하나는 축구 유학을 떠난 정우영(19) 때문이기도 하다. 그는 한국에서 고교 3학년까지 선수로 뛰었고 독일로 건너와 직접 현지 팀을 노크했고 그 과정에서 바이에른 뮌헨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자우어 학장은 "정우영의 경우는 선수로 분류된다. 19세 팀에 속해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19세부터 23세 이하팀까지는 1군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량을 인정받고 기회를 잡는다면 정우영도 분데스리가 1군 경기에서 뛸 수 있는 시기가 보다 빨리 올 수 있다는 의미다.

또한 19세팀은 1군이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할 경우 같은 포멧을 따른다. 다른 클럽 19세 팀과 경기를 치른다. 1군이 치르는 챔피언스리그 일정을 똑같이 소화한다고 보면 된다. 자우어 학장은 "19세팀은 1군이나 2군 선수단에 예를 들어 부상 등을 이유로 결원이 생길 경우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선수가 있는 곳이라고 보면된다"고 얘기했다. 이하 연령대 팀은 말그대로 축구를 즐겁게 접하는 곳이다.

축구와 친해지고 익숙해지는 것이 유소년 아카데미가 우선ㅇ로 꼽고 있는 이념이다. 바이에른 뮌헨이라는 브랜드 파워가 있기 때문에 모집 인원에 미달이 된 적은 없다. 뮌헨 인근 도시 뿐 아니라 독일 전역에서 명문팀의 유소년 아카데미를 찾는다. 정우영처럼 독일 외 다른 나라에서 와 문을 두드리는 '원석'도 차고 넘친다.

자우어 학장은 "그렇기 때문에 구단에서도 아카데미 시설을 더 늘렸다"고 말했다. 아카데미는 1년 반 전에 새 단장했다. 1군 선수단이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알리안츠 아레나 근처로 옮겼다. 연령별 유소년팀을 단계적으로 두고 있다보니 아카데미 내 축구장만 8면이다(천연잔디 구장은 7개).

축구에만 몰두하지 않는다. 아카데미라는 이름에 걸맞게 학업도 함께 할 수 있다. 정우영도 아카데미 안에 자리한 학교에서 공을 찰 때가 아니면 수업을 듣고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다.

자우어 학장은 "유소년팀은 지역 사회와 연관된 부분이 많다"며 "학교를 졸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분은 바이에른 뮌헨과 비교해 유명세가 덜하고 규모도 작은 중간급 클럽이라 볼 수 있는 FC 아우크스부르크도 비슷하다. 아우쿠스부르크 유소년 아카데미를 총괄하고 있는 로이 스타펠벨트 매니저도 같은 얘기를 했다.

차이점도 있다. 우선 규모가 다르다. 아우크스부르크는 홈구장 WWK 스타디움 옆에 마련된 팀 훈련장에서 유소년 아카데미 소속 학생들이 볼을 찬다. 이유는 있다. 2천여명을 훌쩍 넘어가는 바이에른 유소년아카데미보다 학생수가 적다.

아우크스부르크 유소년 아카데미에는 210여명 정도가 참여하고 있다. 바이에른 뮌헨과 견줘 10배 정도 적다. 그래서 좀 더 소수 정예다. 바이에른 뮌헨은 19세팀부터 '선수'라는 기준을 적용하는 반면 아우크스부르크는 좀 더 어린 연령대부터 구분을 명확하게 뒀다. 스타펠벨트 매니저는 "프로선수로 뛸 반과 일반인 반으로 나눠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바이에른 뮌헨은 연령대별 팀에 감독과 코치를 별도로 두고 있다. 아우크스부르크는 그렇지 않다. 연령대별 팀 코치는 각각 있지만 감독과 수석코치가 유소년 아카데미에 속한 팀을 총괄하고 있다.

스타펠벨트 매니저는 "관리와 운영면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리고 아우크스부르크는 '필드에서 뛰는 22명 선수 중 11명은 모두 아우크스부르크'라는 모토를 갖고 있다. 유소년 아카데미 역시 '원팀'을 목표로 두고 있다.

반면 바이에른 뮌헨은 스펙트럼이 다양하고 범위가 넓다. 자우어 학장은 "모든 팀이 다 같을 수는 없다"고 했다. 그는 "유소년 프로그램의 모범사례로 오랫동안 꼽히고 있는 아약스(네덜란드) 모델을 독일에서 그대로 적용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라며 "각 구단이 처한 상황. 구체적으로 들자면 재정 상태. 클럽 규모 등 여러가지를 따져보고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스타펠벨트 매니저도 "우리는 바이에른 뮌핸이 아니다. 우리에게 맞는 옷이 있기 마련이고 거기에 맞춰 (유소년 아카데미를)운영하고 있다"며 "그렇다고 우리가 모자르다는 것은 아니다. 우리만의 색깔이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짧은 취재 기간이라 독일 현지에서 많은 경험을 하지 못했지만 빅클럽과 중간 규모 클럽의 차이는 느꼈다. 그리고 색깔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국내에서도 프로축구 뿐 아니라 농구나 배구등이 유소년에 많은 투자를 하고 관심을 쏟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다.

독일의 사례를 좋은 본보기로 삼아야한다. 장점과 노하우를 흡수하는 한편 그들이 어떤 부분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며 버릴 것은 버리는 지도 잘 살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류의 장을 넓혀야한다.

바에이른 뮌헨과 아우크스부르크 유소년 아카데미 담장자들은 "기회가 된다면 한국에서 꼭 유소년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싶다"고 입을 모았다. 자우어 학장과 스타펠벨트 매니저도 비슷한 얘기를 건넸다. 단순히 사업적인 면으로만 따져볼 일은 아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취재 지원을 받아 작성된 기사입니다

조이뉴스24 /뮌헨·아우크스브루크(독일)=류한준기자 hantaeng@joy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창간14년]'브랜드 활용' 빅클럽과 간격 좁히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