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박진영 기자] '명량'을 시작으로 무려 10년 만. '노량'이 너무나 완벽한 이순신 3부작 대미를 장식하며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이순신 장군을 향한 각별한 애정과 존경심을 바탕으로 대장정을 이어온 김한민 감독은 이 모든 여정이 감격스럽고 뿌듯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순신 장군의 대의를 온전히 담아낼 수 있었던 '노량'이 더욱 각별하다는 소회를 밝혔다.
지난 20일 개봉된 '노량: 죽음의 바다'(감독 김한민/이하 '노량')는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서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의 최후의 전투를 그린 전쟁 액션 대작이다.
'노량'은 1,761만 명이라는 대한민국 역대 박스오피스 대기록을 수립한 '명량', 2022년 여름 최고 흥행작이자 팬데믹을 뚫고 726만 관객을 기록한 '한산: 용의 출현'에 이어 '이순신 3부작 프로젝트'의 대미를 장식하는 작품이다.
'노량'의 배경이 되는 '노량해전'(음력 1598년 11월 19일)은 임진왜란 7년간의 수많은 전투 중 가장 성과 있는 승리를 거두며 전쟁의 종전을 알린 전투로, 조선, 왜 그리고 명나라까지 합류해 총 약 1,000여 척이 싸운 역사적 해전이다. 김한민 감독은 여러 사료를 기반으로 영화적 상상력을 조합해 지금까지 본 적 없는, 100분 해상 전투 액션을 완성해 놀라움을 선사했다. 큰 기대 속에 항해를 시작한 '노량'은 개봉 6일 만에 200만 관객을 돌파했으며, 연일 예매율 1위로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김윤석은 ‘명량’ 최민식, ‘한산: 용의 출현’ 박해일에 이어 이순신 장군 역을 맡아 묵직한 리더십과 인간애를 전하며 깊은 울림을 안긴다. 그리고 백윤식, 정재영, 허준호, 김성규, 이규형, 이무생, 최덕문, 안보현, 박명훈, 박훈 그리고 문정희 등 이름만 들어도 신뢰가 가는 배우들이 총출동해 탄탄한 라인업을 완성했다. 여기에 안성기, 공명, 여진구, 이제훈 등이 특별출연으로 깊이를 더했다. 다음은 김한민 감독과 나눈 일문일답이다.
- 이순신 3부작을 완성한 소감이 어떤가?
"10년이 이렇게 흘러갔구나 싶다. 이순신 장군의 말을 빌리자면 천행이었다. '명량'은 세월호, '한산'과 '노량'은 코로나 시국을 거쳤다. '명량' 때는 개봉을 못 할 뻔했고, '한산'과 '노량'은 촬영을 못 할 뻔했는데 실로 천행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 10년이 넘게 한 사람의 일생을 들여다보고 그걸 영화 속에 담았다. 마침표를 찍는 순간의 기분이 어땠을지 궁금하다.
"마침표가 언제일지는 모르겠지만, 무대인사를 다니면서 '만들어야 하는 작품을 운이 좋게 만들게 됐고 보여드리게 되어 감격스럽다'라고 했다. 그런 심경일 것 같다. 3부작을 마무리해서 다행이기도 하고, 뿌듯하다. 단지 '명량'의 흥행에 힘입어 속편을 만들었다가 아니라 존재하고 만들어져야 하는 뚜렷한 의식이 있어서 그게 다행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런 지점에서 '노량'은 더 각별하다.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대사 한 마디를 감히 주제넘게 덧붙일 수 있었다. '싸움이 급하다. 결코 이 전쟁을 끝내서는...' 그러고 돌아가신다. 송희립(최덕문 분)이 수행할 수 없다고 했을 때 완전한 항복에 대한 이야기, 기어이 항복을 받아내야 하는 의미를 전한다. 그 대사 한 마디는 기록에서 추출한 것이 아니라 전반전인 장군님의 언행 속에서 창조했다. 그 정신을 요약했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 같은데, 감히 그렇게 해도 이순신 장군님이 나를 나무라지 않을 것 같다는 확신이 있었다. 그렇게 해서 100여 분의 해전이 설계됐고, 난관을 극복하고 해전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 '노량'이 반드시 만들어져야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순신 장군은 적들이 돌아가고 다 끝난 전쟁이라고 하는 상황에서도 고독하게 이 전쟁을 끝까지 수행하려 했다. 왜 그가 그렇게 치열하게 수행하려 했는지가 중요한 화두였다. 그리고 완전한 항복에 대한 것으로 생각이 이르렀을 때 전율이 있었다. 장군님이 마지막에 하는 대사의 의미가 이것이 아닌가 싶었다. 그것을 표현할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최민식, 박해일, 김윤석 배우가 각기 다른 이순신을 표현했는데, 어떤 얼굴을 담아내고 싶었나?
"'명량'의 최민식 배우는 용장 이순신의 아우라, '한산'의 박해일 배우는 치열한 전략을 펼치는 지장, 젊은 이순신을 보여줬고, '노량'은 현장이다. 지혜롭고 후대를 생각하는 혜안의 이순신에 김윤석이라는 배우가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문무를 겸비한 이순신 장군을 표현할 수 있는 김윤석은 희귀한 배우다."
- 처음부터 다 다른 배우를 캐스팅하겠다고 생각을 했던 것인가?
"처음엔 어떤 것도 결정되어 있지 않았다. '명량'은 최민식 배우가 했으니까 계속 해도 되지 않을까, 또 배우가 바뀌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공존했다. 하지만 최민식 배우는 '명량'을 찍고 나서 '한 편이면 됐다'라고 하더라. 에너지를 다 쏟은 것 같다. 그래서 그 해전의 특징에 맞는 배우와 '한산', '노량'을 하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을 내렸다."
- 실제 일본인, 중국인 배우를 캐스팅하는 경우도 있는데 '노량'은 명, 왜 모두 대중에 익숙한 배우들을 캐스팅했다. 그렇게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실제 일본 배우, 중국 배우들이 연기하면 좋을 것 같지만 묘하게도 몰입이 안 된다. 사실 그쪽 배우 중 꽤 인지도 있는 배우들이 출연할 의향도 있었다. 그래서 캐스팅 보드에 사진을 붙여놓고 보는데 몰입이 안 되더라. 그래서 적장이지만 우리나라 배우들이 가는 게 맞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야 공감도 되고 카리스마 있게 표현이 될 것 같더라. '최종병기 활' 때 만주족 장수를 류승룡 배우로 캐스팅한 것은 본능적이었는데, 이순신 3부작에서는 판단이 확실하게 서더라."
- 너무나 잘 알려진 역사이기도 하고, 3부작의 대미를 장식하기 때문에 엔딩에 대한 고민도 많았을 것 같다.
"사실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말을 안 찍을까도 강하게 생각했다. 그건 잘 찍어도 본전이고, 그게 아니면 진짜 큰일이다 싶더라. 하지만 그걸 피해갈 수는 없었다. 거기에 진정성, 진심이 있다. 그 장면을 안 찍는다면 사상누각과 다름없다. 치열한 해전을 보여준다고 한들 올바르지 않은 엔딩일 거라고 생각했다. 다만 어디에 배치하느냐를 생각했다. 스킬적으로 타이밍을 조절한 것이다."
- 북소리가 굉장히 중요한 상징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점을 담아내려 했나?
"장군의 대의가 북소리로 상징된다. 영화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신음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시마즈(백윤식 분)가 북소리를 듣고 귀를 틀어막으며 괴로워한다. 전쟁을 끝까지 수행해서 항복을 받자는 대의의 상정성으로서 시작과 끝을 그렇게 배치했다. 몸부림치고 괴로워하고 동요하는 왜군, 더 심기일전해서 싸우는 명나라와 조선 장수들은 북소리로 총합이 될 수 있다. 반드시 북소리와 함께 정리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북을 치는 이순신 장군은 북소리와 함께 돌아가셔야 한다고 생각했다."
- 이순신 장군의 죽음이 담담하게 표현이 되다 보니 신파로 느껴지지 않아 더 큰 울림이 있었다. 연출적으로 고심했던 부분은 무엇인가?
"정공법이다. 이순신 장군의 진정성을 어떤 톤앤매너로 보여줄까 고민했고, 김윤석 배우와도 소통했다. 이 장면에서는 눈을 감지 말자고 했다. 그대로 화석화가 됐으면 좋겠다는 마음이었고 거기에 북이 울린다. 관객들은 절제되고 담백하게 처리가 됐다고 하는데, 진정성을 표현하다 보니 그렇게 된 거다. 김윤석 배우도 격한 공감을 했다. 문제는 어디에 배치하느냐였다. 편집하는데 그 장면이 안 붙더라. 큰일이다 싶었는데, 전쟁이 끝나고 장례식 중간으로 가니까 그 장면이 붙더라."
- 안보현 배우가 이어서 북을 친다. 장남으로서 아버지의 대의를 이어받는데 뭉클했다. 어떻게 캐스팅했고, 어떤 이야기를 나눴나.
"우직한 첫째 아들 같은 느낌이 있었다. 사실 본인의 인지도에 비해 작은 역할이다. 그런데 영광스럽게도 달려와 줬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만 잘 나올 수 있으면 크게 만족할 것 같다고 하더라. 잘 나올 거라고 하면서 찍었고, 잘 표현해줬다. 이순신 장군이 북 치는 것만큼 열심히 치라는 주문을 했다.(웃음)"
/박진영 기자(neat24@joy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