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류한준 기자]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한다. 산림청은 '산림정책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초연결 스마트 행정 실현'이라는 비전을 세웠다.
산림청은 이를 바탕으로 산림재난 대응력을 강화하고 대국민 산림복지 서비스를 확대하는 동시에 정밀하고 과학적인 산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산림정책 디지털전환 10대 추진과제'를 13일 발표했다.
◇첨단기술활용 부처 간 협업 산불․산사태 대응력 강화
산림청은 과학적인 산불방지를 위해 24시간 실시간으로 산불 여부를 자동 감시·판독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정보기술(ICT) 플랫폼을 확대하기로 했다. 산불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또한 신속한 산불상황 전파체계 구축을 통한 조기 대피를 위해 산불확산예측시스템 동시접속 성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산불취약지 관리 모바일웹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험준한 산지 내 통신불가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저궤도 위성통신을 활용한 무선통신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I 산불감시의 경우 지난해(2023년) 동해안 중심 10개소에서 올해 경북, 강원 등 30개소로 늘린다.
서비스 제공 정보도 입산통제와 등산로폐쇄 구역과 구간으로 확대한다.
산사태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산지 위주의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다른 부처가 관리하는 사면정보까지 통합·관리하는 '범부처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으로 확대·개편한다. 예측체계 개편을 통해 주민대피골든타임 확보에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산림 수계 분포와 유량 정보를 데이터화한 '산림수계수치지도'도 구축해 산사태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논스톱 전달체계를 통한 산림휴양‧치유 복지서비스 확대
산림복지 분야에서는 논스톱 정보전달체계를 구축한다. 산림청은 "누구나 누리는 산림휴양·치유·복지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디지털 서비스 개방을 통해 산림청 공식 홈페이지에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연휴양림, 산림교육·치유시설의 예약을 네이버, 국민은행 등 민간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고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모든 국민이 산림치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실내에서도 체험 가능한 '오감 자극 시스템과 가상현실 모델'을 개발·운영한다. 산림청은 "산림치유 효과 확산을 위해 관계기관 협업을 통한 맞춤형 산림치유 효과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인기가 늘어나고 있는 정원 분야는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정원 주인이 될 수 있도록 정원 유형별 조성체계 안내와 함께 정원소재 활용식물 DB(데이터 베이스)를 담은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산림교육 접근성 강화를 위해 숲교육포털을 새로 만든다.
산림청은 "국가산림문화자산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 확대를 통해 일상에서 국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맞춤형 서비스·산림산업관리 디지털화 임업인 소득․지원 강화
임업인 지원강화 분야는 임업인들이 민원 신청 시 별도의 구비서류가 필요하지 않도록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부처 간 데이터를 공유하기로 했다. 임업직불금 신청부터 수령까지 단계마다 맞춤형으로 알려주는 'e-임업비서'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임업인 편의성을 대폭 끌어올릴 계획이다.
여기에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임업직불금에 대한 부정수급도 사전에 차단할 예정이다. 산림산업 분야는 관리체계의 디지털화를 통해 임업인 소득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목재정보서비스' 구축을 통해 목재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주기 관점에서 자원을 통합·관리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생산자 수요에 맞춰 검증과 인증심사 등 서비스를 올해부터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부가가치가 높은 유망 산림생명자원 활용성 증진과 산업화 촉진을 위해 '산림생명자원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산림청은 "단기임산물 임업관측품목 확대로 단기임산물 소득 증진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농림위성·산림빅데이터 구축 활용 등 디지털 기반 확대
산림청은 산림정책 디지털 전환의 핵심 인프라인 농림위성을 2025년 발사·활용해 실시간 대면적 산림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위성데이터 활용을 위한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는 오는 7월 설립할 예정이다.
위성 데이터와 AI 기술을 융합해 나무와 식물의 개화시기를 예측하고, 산림재난의 피해면적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등 활용 기술 알고리즘 36종을 개발 중이다. 또한 한반도뿐만 아니라 위성이 관측 가능한 국가를 대상으로 위성정보 데이터 제공으로 국제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데이터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을 위해 산림청은 전국 산림현황을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산림지도를 확대할 예정이다. 산림청은 "이러한 지도정보와 산림위성정보, 산림디지털트윈 등 대용량 공간정보를 수집·분석·활용할 수 있는 산림공간 디지털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또한 산림과학원 연구 결과가 즉시 정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능형 산림과학 서비스를 제공한다. 산림공공데이터는 개인정보 등 보안 사항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는 2025년까지 100% 전면 개방할 예정이다.
◇국제기준에 부합 지속 가능한 산림환경·탄소 관리
산림청은 산림 내 생물다양성 확보와 국가 식물자원의 체계적 보전‧관리 강화를 위해 산림분야 OECM(보호지역은 아니지만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역을 선정‧관리하는 보전 조치를 의미)도입을 추진한다.
해당 지역에 대한 디지털 관리체계를 마련하여 시계열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산림복원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해 사후관리를 강화하고, AI를 활용해 무단 점유지를 조기 파악하고 산림훼손 방지에도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산림청은 산림탄소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해 국제수준 대응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산림경영이음'을 활용해 공간정보 기반의 국·공·사유림 경영활동 데이터를 올해부터 통합 관리하고 있고 오는 2026년까지 산림탄소 측정·보고·검증 체계를 구축해 산림분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 한국은 오는 2030년까지 4억3660만 탄소톤 감축, 산림분야는 2억5500만 탄소톤 기여 예정) 달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이에 필요한 국제적 증빙자료인 격년 투명성 보고서(BTR : NDC 이행을 확인하기 위한 격년 단위 보고서) 산림탄소 흡수량을 자동 산정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전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산림에 대한 과학적 관리를 위해 산림정책 디지털 전환 10대 과제를 마련했다"며 "속도감 있는 추진을 통해 전 국민과 220만 산주, 21만 임업인이 숲을 통해 다양한 혜택을 더욱 쉽고 편하게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류한준 기자(hantaeng@joy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