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산림청 "소득률 가장 높은 임산물은 호두·산딸기"


밤·대추 등 주요 임산물 11개 품목 생산비 조사결과 발표

[조이뉴스24 류한준 기자] 산림청이 밤, 대추 등 주요 임산물 11개 품목에 대해 2023년도 생산비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산림청은 생산비용이 전년 대비 2∼6% 가량 증가했고, 단위면적당 소득률 대비 소득 비율은 호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소득률은 생산량에 단가를 곱한 평가액을 의미한다. 2023년 기준 기존 4개 조사품목 생산비를 살펴보면 증가율이 높은 순서대로 △호두 1400만원/㏊(6.0% 증가) △대추 3752만원/㏊(3.8% 증가) △밤 483만원/㏊(3.1% 증가) △떫은감 2588만원/㏊(2.3%증가)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은 "해당 품목들의 생산비가 증가한 요인으로 이자율 상승, 농약가격 상승, 노동임금단가 상승 등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산딸기, 구기자 등 지난해 처음 조사가 시작된 7개 품목을 포함한 전체 11개 품목의 생산비는 산딸기가 1㏊당 7672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산림청이 밤, 대추 등 주요 임산물 11개 품목에 대해 2023년도 생산비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산림]
산림청이 밤, 대추 등 주요 임산물 11개 품목에 대해 2023년도 생산비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산림]

구기자(5732만 원/㏊)와 복분자딸기(4512만 원/㏊)가 뒤를 이었다. 소득률이 가장 높은 상위 3개 임산물은 호두, 산딸기, 떫은감이다. 한편 '임산물생산비조사'(국가승인 제136033호) 결과는 산림임업통계 누리집에서 확인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이선미 산림청 산림빅데이터 팀장은 "산림청은 매년 임업경영에 도움이 되는 동향을 조사‧분석해 오고 있다"며 "임산물 단위 면적 당 생산비, 소득률 등 임업인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류한준 기자(hantaeng@joy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산림청 "소득률 가장 높은 임산물은 호두·산딸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귀궁' 김지훈, 내가 왕이 될 상이다
'귀궁' 김지훈, 내가 왕이 될 상이다
'귀궁' 김지연, 기분 좋은 미소
'귀궁' 김지연, 기분 좋은 미소
'귀궁' 육성재X김지연, 연습생 시절부터 16년 찐친⋯혐관 로맨스 도전
'귀궁' 육성재X김지연, 연습생 시절부터 16년 찐친⋯혐관 로맨스 도전
'귀궁' 육성재, 악신 이무기가 너무 귀여워
'귀궁' 육성재, 악신 이무기가 너무 귀여워
최양락-팽현숙-유승호 '대결! 팽봉팽봉' 많이 사랑해주세요
최양락-팽현숙-유승호 '대결! 팽봉팽봉' 많이 사랑해주세요
'팽잘알' 최양락, 믿고 보는 유쾌함
'팽잘알' 최양락, 믿고 보는 유쾌함
이봉원 '대결! 팽봉팽봉' 기대하세요
이봉원 '대결! 팽봉팽봉' 기대하세요
팽현숙 '대결 팽봉팽봉' 기대하세요
팽현숙 '대결 팽봉팽봉' 기대하세요
이은지 '봉식당' 알바생 겸 마케팅 팀장
이은지 '봉식당' 알바생 겸 마케팅 팀장
유승호, 팽식당 의지의 알바생
유승호, 팽식당 의지의 알바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