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창간14년]한국 프로스포츠에서 사회 공헌은 어떤 의미일까


특집, '말로만 (지역) 사회 공헌 사업, 언제까지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어야 할까요.'

[조이뉴스24 류한준, 이성필, 김동현 기자] '말로만 (지역) 사회 공헌 사업, 언제까지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어야 할까요.'

한국 프로스포츠 시장은 외연은 확장되고 있지만, 내부는 여러 문제로 곪아 터지기 직전입니다. 각 종목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외화내빈'이라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불균형입니다. 어딘가 아픈데 왜 발병했는지 모릅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부실한 팬서비스를 지적하는 팬들도 있고 관전 불편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구단의 역할이 단순히 승패라는 결과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한국 최초의 인터넷 스포츠, 연예 매체 조이뉴스24는 11월 1일 창간 14주년을 맞아 바로 이 부분을 건드려 보기로 했습니다. 창간 14주년 특집으로 연고지와 팬들을 위한다는 프로구단의 존재 이유를 재점검해보기로 말이죠. 특히 구단의 역할 중 하나인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해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제대로 되고 있는지, 어떤 의미로 하고 있는지 말이죠.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과감한 사고 전환도 제안합니다. 총 8부에 걸쳐 점검해봤습니다. 무엇이 좋고 나쁜지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 사회 공헌을 통해 서로 윈윈하는지 말이죠.

-글 싣는 순서-

1부. 의무감과 흉내만 내는 지역 사회 공헌 사업

①한국 프로스포츠에서 사회 공헌은 어떤 의미일까

②누구를, 무엇을 위한 사회 공헌 사업인가

2부. 프로스포츠 구단과 지역의 연대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3부. 라이벌이자 동반자인 이웃나라 스포츠의 사회 공헌 협업 사례와 효과

4부. 프로스포츠의 천국에서는 어떻게 접근했나

5부. 종합스포츠클럽(SC)이 곧 사회 공헌이다

6부. 종합스포츠 클럽의 천국은 어떻게 지역과 융합했는가

7부.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까

8부. 국민 참여 토론회

'**구단, 선수들과 **복지관에 청소 봉사활동'

'***선수가 불우 어린이를 위해 *천만원 쾌척'

'**구단, **단체에 쌀 100포대 기부'

프로 스포츠에 관심 있는 팬들이라면 종종 위와 같은 제목의 언론 보도를 접하게 된다. 대부분 해당 선수의 소속 구단이 내는 보도자료에서 파생되는 소식이다. 때로는 선수의 숨은 선행이 우연처럼 드러나는 경우도 있다. 구단들은 크게 두 가지를 알리고 싶어 한다. 해당 선수의 선행 홍보와 구단이 사회공헌활동(CSR)을 꾸준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취지는 좋다. 연고지에서 주로 CSR을 하면서 구단의 노력을 최대한 보여주려고 하기 때문이다. 연고지의 자치 단체도 구단의 활동을 통해 직접 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하는 대리만족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목적성 있는 사회 공헌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사회 공헌에 목적성이 있는 것 자체에 어폐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전략 없이 그저 '우리 이렇게 하고 있어요'라고 알리는 소위 의무감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너무 많다. 구단이 영리를 추구하는 것이 맞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관중, 경기장 관리, 부가 상품 수익 등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영역이 분명 존재한다. 이를 통한 사회 공헌 사업은 당연한 과정 중 하나다.

특히 한국 프로스포츠는 모기업이나 지자체로부터 운영 자금을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모기업이나 지자체는 사실상 구단 운영 자금을 홍보 또는 사회공헌 비용으로 생각하고 지급한다. 국내 시장에서 구단을 통한 전통적인 기업, 지자체 홍보가 한계에 왔기 때문에 자세도 바뀌고 있다.

기업구단 A의 모기업 홍보팀장은 "승패가 갈리는 스포츠를 통한 모기업 홍보는 과거에는 효과 만점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 수명이 다했다. 내수시장이 포화한 상황에서 시선은 글로벌로 옮겨가고 있다. 미국프로야구(MLB) 경기장 광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유니폼 후원사 등 홍보 수단은 많다"고 전했다.

흐름은 변화하고 있지만, 한국 프로스포츠 구단들은 자생 노력을 보여주지 않고 자금 지원만을 바라고 있다. '시도민구단'이라는 특수성이 있는 프로축구의 경우 시도 의회에서 예산 집행을 놓고 '적절한가'에 대한 의문이 끊이질 않는다. "구단이 당장 살아야 하는 데 도와달라"고 읍소해 문제를 풀려는 경우가 잦다.

이제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프로구단은 그 자체가 지역 사회 공헌의 정점에 있는 기관 역할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돈을 받아 내더라도 좀 더 의미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상황만 만들고 선순환 구조가 이어진다면 더 많은 팬을 확보해 수익 창출로도 연계할 수 있다.

물론 '한국적인 시선'을 쉽게 벗어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프로농구 B구단 단장은 "구단에서 어디를 도와주는 자료가 나가면 '우리도 도와 달라'고 문의가 쏟아진다. 연고지를 벗어난 곳에서도 온다. '어렵다'고 하면 욕을 하고 전화를 끊어 버리는 경우도 많다. 인식 변화가 쉽지 않은 이유다"고 지적했다.

프로축구 C구단 사장은 "사실 그동안 사회 공헌 사업은 그냥 버리는 돈이었다. 그래서 적당한 모양새만 갖춰지면 실행하고 다음을 대비했다. 큰 효과도 없어서 '이렇게 해야 하나'라고 회의감이 들었다"고 고백했다.

소위 불우 이웃 돕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사회 공헌의 끝에는 혜택을 받은 대상이 관중으로 돌아와 응원하고 구단 상품도 구매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중=고객'이 될 수도 있다. 그래야 다시 사회 공헌 비용도 마련되기 때문이다. 아직 사회 공헌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는 한국 프로스포츠다. 어디서부터 고민해야 할까.

<②누구를, 무엇을 위한 사회 공헌 사업인가 편에서 계속…>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취재 지원을 받아 작성된 기사입니다

조이뉴스24 특별취재팀= 류한준 기자 ryu@joynews24.com 이성필 기자 elephant14@joynews24.com 김동현기자 miggy@joy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창간14년]한국 프로스포츠에서 사회 공헌은 어떤 의미일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