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동안 천문학 축제…국제천문연맹 총회, 부산에서 폐막
10일 동안의 전 세계 천문학 축제가 부산에서 폐막했다. 제31차 국제천문연맹(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총회가 11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막을 내렸다. 코⋯
-
인공지능으로 신규 항암 치료제 찾아냈다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새로운 항암 치료제 발굴에 성공했다. 카이스트(KAIST, 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연구팀⋯
-
[지금은 기후위기] 전 세계 돌발홍수 등 물 폭탄…이유가 있다
지난 8일 내린 폭우로 철로와 도로가 물에 잠기면서 일부 구간에 지하철ㆍ전철 운행이 중단되고 도로가 통제돼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
[우리별이후 30년] 그때 그 사람들…지금은 어디에
1992년 8월 11일. 우리별 1호가 분리될 시간이 다가오면서 연구팀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만일 우리별이 분리에 실패한다면…. 3년 동안 밤잠을 설쳐가며 젊음⋯
-
[우리별이후 30년] 故 최순달 박사의 ‘헌신’→이젠 뉴스페이스로
1992년 8월 11일 발사된 우리별 1호. 1992년 첫 한국 인공위성 우리별이 발사되면서 우리나라는 우주개발에 뛰어들게 된다. 당시만 하더라도 이해⋯
-
[우리별이후 30년] 1992년 우리별→2022년 누리호·다누리까지…韓 우주개발 역사는
1992년 우리별(최초 한국 인공위성), 2022년 6월 누리호(최초 한국형발사체), 2022년 8월 다누리(최초 한국 달궤도선)까지 대한민국 우주역사가 미래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
[지금은 기후위기] 대책은 없고 위험과 재난만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에 폭우가 쏟아지고 있는 지난 8일 밤 서울 동작구 상도동 인근 도로가 물에 잠겨 있다. 우리나라에 물 폭탄이 쏟아⋯
-
원자력연, 암치료용 ‘루테튬-177’ 순수 국내기술로 첫 공급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진들이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시설에서 ‘루테튬-177’을 제조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전량 수입에 의⋯
-
[지금은 과학] 주름 걱정없는 폴더블 스마트폰 나온다
폴더블 스마트폰의 주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광학필름이 개발됐다. 20만번 이상 접어도 문제가 없었다. 디스플레이를 접으면 안쪽에는 압축력이, 바깥쪽에는⋯
-
[지금은 과학] 통계적 학습은 집중도와 반비례한다는 연구
통계적 학습을 할 때에는 집중도를 낮추고 목적 지향 행동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뇌과학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
-
나노크기 인공지문으로 사물인터넷 보안 강화
사물인터넷(IoT)이 확대되면서 보안과 인증 기술 또한 강화되고 있다. 사람 지문과 같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분자조립 나노패턴을 이용한 차세대 보안, 인증⋯
-
장관·시장도 불참한 부산 국제천문연맹 총회…韓, 국격 스스로 떨어트려
국제천문연맹 부산 총회의 주제는 '모두를 위한 천문학'이다. 우리나라 정부와 지자체 주요 관계자가 참석치 않으면서 국격을 스스로 떨어트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
-
[지금은 기후위기-영상] 극심·예측불가 → 변동성·혼란 증가
최근 기후변화는 극심하고 예측불가한 방향으로 악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지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 흐름⋯
-
1938년에 제작된 우리나라 최초 지질도 복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우리나라 최초의 지질도인 '대한지질도'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 KIGAM)은 일⋯
-
[지금은 과학] 전자 코에 상한 고기 댔더니 “이거 썩었어요!”
부패한 육류를 전자 코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나왔다. 최근 이어지는 더위와 높은 습도로 식중독 지수가 ‘경고’와 ‘주의’를 오가고 있다. 국내⋯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됐던 동위원소전지, 전기 생산 성공했다
지난 6월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됐던 동위원소전지가 전기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앞으로 달 등 극한 상황에서 에너지 공급원⋯
-
“외계행성, 이름을 정해 주세요”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외계행성의 이름을 짓는 ‘NameExoWorlds 2022 국제 공모전’을 시작한다. IAU는 산하 과학문화 조직인 IAU OAO(Office for As⋯
-
노화된 뇌에서 ‘아프다(APDA)’ 비정상 세포 발견
국내 연구팀 노화와 치매 뇌에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가 생겨나는 것을 관찰하고 그 원인을 규명했다. 신경 세포의 연결점인 시냅스의 숫자, 기능 유지에 악영향⋯
-
[지금은 기후위기] 전 세계 강타 ‘침묵의 살인자’ 폭염
올해 여름은 이상 폭염 현상이 전 세계를 강타했다. 6월부터 시작된 폭염은 유럽, 북미, 아시아, 지중해를 비롯해 북반구에 특히 기승을 부렸다. 폭염이 잦아지⋯
-
이상률 항우연 원장 “38만km 달까지 대한민국 우주탐사 영역 확대"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를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가 8월 5일 오전 8시 8분 48초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의 우주군 기지 40번 발사대를 이륙하고 있다. [사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