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김건희 여사 '쇼핑 논란' 말문 연 대통령실 "언급 않겠다"


리투아니아 순방 논란 뒤 용산 대통령실 첫 브리핑
"쥴리·청담동 술자리 정쟁화…정쟁 소재 만들지 않아야"

리투아니아 매체가 12일(현지시간) 김건희 여사가 수도 빌뉴스의 매장들을 찾아 쇼핑한 사실을 보도했다. [사진=Žmonės.lt.]
리투아니아 매체가 12일(현지시간) 김건희 여사가 수도 빌뉴스의 매장들을 찾아 쇼핑한 사실을 보도했다. [사진=Žmonės.lt.]

[아이뉴스24 김보선 기자]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리투아니아 순방 중 불거진 김건희 여사의 쇼핑 논란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겠다"고 17일 밝혔다. 순방 뒤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첫 브리핑에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순방 후 첫 브리핑인 만큼 김 여사 쇼핑 논란과 관련해 정리된 입장이 있는지 묻겠다는 질의에 "이미 과거에 무슨 '쥴리'라든지 '청담동 술자리'라든지 여야 간 정쟁화가 돼 버렸다"며 "제가 특별히 언급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팩트를 갖고 얘기해도 그 자체가 정쟁 소재가 될 가능성이 커서 정쟁의 소재를 만들지 않는 게 차라리 나을 것 같다"고 했다.

야당은 김건희 여사가 리투아니아 순방 중 명품 쇼핑에 나섰다는 리투아니아 언론 보도에 대한 대통령실의 입장 표명을 연일 촉구하고 있다.

리투아니아 매체가 12일(현지시간) 김건희 여사가 수도 빌뉴스의 매장들을 찾아 쇼핑한 사실을 보도했다. [사진=Žmonės.lt.]
리투아니아 매체가 12일(현지시간) 김건희 여사가 수도 빌뉴스의 매장들을 찾아 쇼핑한 사실을 보도했다. [사진=Žmonės.lt.]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건희 여사가 5곳이나 되는 매장에서 명품 쇼핑을 즐겼다는 리투아니아 언론의 보도가 나온 지 벌써 여러 날이 지났지만 대통령실은 아직도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정상외교를 위해 방문한 국가에서 사적인 관광을 즐기듯 명품 쇼핑을 했다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더욱이 폭우가 예상되는데도 출국한 대통령 부부가 역대급 수해 피해 속에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 국민은 알아야 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도 전날 "이미 현지 언론은 명품 매장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 '영부인이 예고도 없이 불쑥 찾아왔다'고 보도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이것도 '가짜 뉴스'고, '거짓 선동'이라 여기고 있나"라고 되물었다.

리투아니아 매체 주모네스(Žmonės.lt)는 지난 12일(현지시간) '한국의 퍼스트레이디는 50세의 스타일 아이콘 : 빌뉴스(리투아니아 수도)에서 일정 중 유명한 상점에 방문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매체는 "한국의 퍼스트레이디(김 여사)가 경호원과 수행원 16명을 대동하고 예고 없이 방문해 빌뉴스 시청 광장 주변에 있는 5개의 매장을 모두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에 실린 사진에는 김 여사가 수행원들과 함께 '두 브롤리아이(Du Broliai)' 매장에서 나오는 장면 등이 찍혔다.

/김보선 기자(sonntag@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김건희 여사 '쇼핑 논란' 말문 연 대통령실 "언급 않겠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탕웨이, 와일드한 분위기 여신
탕웨이, 와일드한 분위기 여신
배두나라서 소화 가능한 유니크한 패션
배두나라서 소화 가능한 유니크한 패션
'폭싹 관식母' 오민애, 우아한 실물 미모
'폭싹 관식母' 오민애, 우아한 실물 미모
김도연, 속 다 보이는 아찔한 시스루
김도연, 속 다 보이는 아찔한 시스루
김우빈, 영화계의 젠틀맨
김우빈, 영화계의 젠틀맨
임지연, 당당한 노출
임지연, 당당한 노출
영드 '갱스 오브 런던 시즌3' 연출한 김홍선 감독
영드 '갱스 오브 런던 시즌3' 연출한 김홍선 감독
신승환 "'갱스 오브 런던 시즌3'에서 만나요~"
신승환 "'갱스 오브 런던 시즌3'에서 만나요~"
'갱스 오브 런던 시즌3' 임주환, 영드 진출!
'갱스 오브 런던 시즌3' 임주환, 영드 진출!
4.27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
4.27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