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디스커버리펀드' 개방형 펀드도 손실…금융당국 '관리 부실' 논란


경찰 "특혜 논란, 수사 통해 판단"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가 발생한 디스커버리펀드가 개방형 펀드까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금융당국의 관리 부실에 대한 비판이 한층 커지고 있다.

14일 경찰과 금융업계에 따르면 디스커버리펀드 환매 중단으로 인해 개방형 투자자들까지 다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경찰 수사 결과 알려졌다.

디스커버리펀드 투자자들이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

앞서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기업은행과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본사 등을 압수수색해 투자자 리스트 파일 등을 확보한 바 있다. 이 파일에는 장하성 주중 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 별도 관리했던 특정 관계자들 목록이 담겨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장 주중 대사 부부는 60억원을, 김 전 정책실장은 4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스커버리 펀드는 장하성 주중 대사의 동생인 장하원 대표가 설립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로, 미국 자산운용사 다이렉트 렌딩 인베스트먼트(DLI)가 운영하는 핀테크 대출채권 특수목적법인(SPV) 인 DL글로벌(DLG)이 발행한 선순위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하지만 미 운용사 대표였던 브랜단로스가 자산과대상계 및 수수로 부당 징수혐의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고발당하면서 일부 펀드 자산이 동결돼 환매가 중단됐다.

기업은행과 한국투자증권, 하나은행 등을 통해 판매됐으며 환매중단 규모는 2천562억원이다.

가입자들 대다수가 만기 전에는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에 투자한 데 반해, 투자자 명단에 담긴 이들은 만기 전에도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한 '개방형 펀드'에 투자했다.

이런 탓에 특정인에만 개방형으로 판매했단 특혜 의혹이 불거졌는데, 이번 경찰 수사로 이들 역시 환매 중단으로 인해 피해를 본 것이 확인된 것이다. 다만 여전히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경찰은 특혜 의혹 논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이날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디스커버리에서 운용한 펀드가 하나는 개방형이고 다른 하나는 만기출금형식의 폐쇄형"이라며 "개방형 펀드에 특혜가 있었냐는 문제는 수사를 통해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경찰 수사를 통해 폐쇄형 펀드 투자자는 물론 개방형 펀드 투자자까지 피해를 입은 것이 확인되면서, 금융감독원에 대한 관리 부실을 질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 대책위원회 관계자는 "디스커버리펀드 사태는 개방형이냐 폐쇄형이냐, 문제가 아니다"라며 "사태의 핵심은 정부의 사모펀드 활성화 정책실패와 금감원의 사태해결 미숙 등이 불러온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금감원은 압수수색 권한이 없는 만큼 한계가 있단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사 과정선 개방형과 폐쇄형을 전부 검사했었다"면서 "다만 발표과정서 이를 구분하지 않은 것이며 특혜 의혹 등에 대해선 당국선 압수수색을 할 수 없는 만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선 금융위원회가 오는 16일 정례회의서 디스커버리 제재안건이 다뤄질 것으로 알려졌지만 금융위는 확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과 관련해 금융위원회 논의일정 및 제재내용은 확정된 바가 없으며, 조속한 시일 내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진행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디스커버리펀드' 개방형 펀드도 손실…금융당국 '관리 부실' 논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